사용자 도구

사이트 도구


os_setup

차이
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
차이 보기로 링크

양쪽 이전 판 이전 판
다음 판 양쪽 다음 판
os_setup [2016/10/19 06:41]
gsjung
os_setup [2016/10/19 06:45]
gsjung
줄 64: 줄 64:
   * AHCI: SSD를 사용할 거면 꼭 켜야하며 그냥 무조건 켠다. IDE/RAID/AHCI 중에서 선택하도록 되어있다.   * AHCI: SSD를 사용할 거면 꼭 켜야하며 그냥 무조건 켠다. IDE/RAID/AHCI 중에서 선택하도록 되어있다.
   * 온보드 SATA 끄기: 기본 칩셋이 SATA를 6포트 지원하고 추가적으로 2포트 지원하기 위해 넣은 것으로 J-micron 등의 회사들 것으로 되어있다. 8포트를 전부 사용하면 어쩔 수 없이 켜야하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부팅 시간만 잡아먹는다.   * 온보드 SATA 끄기: 기본 칩셋이 SATA를 6포트 지원하고 추가적으로 2포트 지원하기 위해 넣은 것으로 J-micron 등의 회사들 것으로 되어있다. 8포트를 전부 사용하면 어쩔 수 없이 켜야하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부팅 시간만 잡아먹는다.
 +  * 오버클럭 확인: 누가 썼는지 모르기 때문에 오버클럭을 어떻게 설정했을지 모른다. 대부분 무리없게 잡아놓겠지만 정 찝찝하면 다 Auto로 돌려놓는다. CPU/RAM 전압, 클럭 속도, 램 타이밍 등.
  
 구형 메인보드에서 AHCI를 사용할 경우 드라이버를 매번 새로 깔아서 오래걸리는 경우가 있는데 BIOS 업데이트를 하면 좀 나아지는 경우가 있다. 기가바이트 P35 보드 계열에 이런 현상이 있으며 현재 동작 중인 PC는 대부분 최신 BIOS이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. 구형 메인보드에서 AHCI를 사용할 경우 드라이버를 매번 새로 깔아서 오래걸리는 경우가 있는데 BIOS 업데이트를 하면 좀 나아지는 경우가 있다. 기가바이트 P35 보드 계열에 이런 현상이 있으며 현재 동작 중인 PC는 대부분 최신 BIOS이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.
줄 80: 줄 81:
 문제는 디스크를 추가하고 그 쪽에다가 윈도우를 새로 설치할 경우인데 이러면 기존에 부트 파티션이 존재하므로 그쪽을 갱신하지 새 디스크에 부트 파티션을 추가하지 않는다. GUI환경에서는 부트 파티션을 수동으로 조절할 방법이 없으며 diskpart로 생성해야한다. 문제는 디스크를 추가하고 그 쪽에다가 윈도우를 새로 설치할 경우인데 이러면 기존에 부트 파티션이 존재하므로 그쪽을 갱신하지 새 디스크에 부트 파티션을 추가하지 않는다. GUI환경에서는 부트 파티션을 수동으로 조절할 방법이 없으며 diskpart로 생성해야한다.
  
-제일 깔끔한 방법은 윈도우를 설치할 때 설치할 +제일 손쉬운 방법은 윈도우를 설치할 때 설치할 디스크를 물리적으로 제거하고(SATA포트든 전원이든 뽑는다) 윈도우를 깔 곳에 설치한 다음에 설치하는 방법이다. 
 + 
 +이러한 문제는 /boot 에 부트 파티션이 마운팅되는 리눅스 계열도 비슷하다. 만자로 16_08에서 이러한 현상이 발견됨. CLI로 파티셔닝만 하고 재부팅하고 GUI(Caramelas)로 깔면 된다. 
 +=== 계속 설치 화면만 뜨는 경우 === 
 +DVD/CD와 다르게 USB설치 시는 바로 USB로 부팅이 되기 때문이다. 부트 순서를 SSD/HDD 우선으로 하고 USB를 일시적으로(보통 부팅 시, F8~F11에 임시 부트메뉴 버튼이 할당되어 있다.) '''처음 재부팅 후''' USB를 빼버린다. 타이밍을 맞춰 빼거나 F2, Del로 설정 창에 잠깐 들어간 뒤 빼고 재부팅한다. 여기서 아무것도 바꾸지 않더라도 저장 후 재부팅으로 해야한다.
  
os_setup.txt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2021/04/13 06:54 (바깥 편집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