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용자 도구

사이트 도구


os_setup

차이
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
차이 보기로 링크

양쪽 이전 판 이전 판
다음 판 양쪽 다음 판
os_setup [2016/10/07 07:17]
127.0.0.1 바깥 편집
os_setup [2016/10/19 06:41]
gsjung
줄 52: 줄 52:
  
 주 용도 주 용도
-  * Manjaro 등 dd 또는 dd/iso(hybrid) 이미지로 제작할 때+  * Arch리눅스 계열(Manjaro 등dd 또는 dd/iso(hybrid) 이미지로 제작할 때
  
 +주의사항
 +  * 사용 이후, 윈도우에서 USB의 제대로된 파티션을 못 잡는 수 있다. Refus로 시동디스크를 만든 USB를 다시 일반 데이터 USB로 사용하고 싶다면 Refus로 그냥 포맷(이미지 선택하지말고)하면 돌아온다.
  
 +==== 하드웨어 세팅 (UEFI/BIOS) ====
 +보통 바이오스라고 부르지만 최근 PC들은 BIOS대신 UEFI를 사용한다. 어차피 진입 방법은 F2나 Del로 동일하고 UEFI가 더 편하면 편했지 까다로운 것은 없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. 다만 연구실 내에 오래된 PC가 적지 않으므로 과거 세팅에 대해 알아둘 필요는 있다.
 +
 +특히 오래된 PC의 BIOS 창에서 설정해야할 것들은:
 +
 +  * AHCI: SSD를 사용할 거면 꼭 켜야하며 그냥 무조건 켠다. IDE/RAID/AHCI 중에서 선택하도록 되어있다.
 +  * 온보드 SATA 끄기: 기본 칩셋이 SATA를 6포트 지원하고 추가적으로 2포트 지원하기 위해 넣은 것으로 J-micron 등의 회사들 것으로 되어있다. 8포트를 전부 사용하면 어쩔 수 없이 켜야하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부팅 시간만 잡아먹는다.
 +
 +구형 메인보드에서 AHCI를 사용할 경우 드라이버를 매번 새로 깔아서 오래걸리는 경우가 있는데 BIOS 업데이트를 하면 좀 나아지는 경우가 있다. 기가바이트 P35 보드 계열에 이런 현상이 있으며 현재 동작 중인 PC는 대부분 최신 BIOS이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.
 ==== Windows 설치 ==== ==== Windows 설치 ====
 +=== UEFI부팅 - GPT/MBR 문제 ===
 +이는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 전부 트러블슈팅을 할 순 없으며 관련 내용도 웹에 많다.
 +
 +특히 설치 실패 시 윈도우에서 에러코드를 보여주기 때문에 그 에러코드로 검색을 해보자.
 +
 +대부분의 문제는 UEFI 부팅을 하기 위해서는 디스크를 GPT로 잡아야하는데 세팅은 UEFI/GPT인데 자신이 참고하는(혹은 알고있는) 가이드라인이 BIOS/MBR 기준인 경우가 있다. 날짜별 검색, 추가 키워드 검색을 통해 최신 설치 방법을 참고하라.
 +
 +한번도 쓰지 않은 디스크의 경우 파티션 테이블을 한번 잡아줘야할 수 있다. 이미 기존에 사용했던 PC에 물려서하는 방법이 제일 간편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diskpart등을 사용해서 파티션을 수동으로 세팅한다.
 === 부트 레코드의 생성 위치 문제 === === 부트 레코드의 생성 위치 문제 ===
 +Windows를 설치할 때 GUI환경에서 다른 디스크가 없고, 빈 디스크가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를 누른 채로 파티션을 생성하면 윈도우가 자동으로 부트 파티션을 생성한다. 즉 해당 파티션이 없어지면 부팅이 안 된다.
 +
 +문제는 디스크를 추가하고 그 쪽에다가 윈도우를 새로 설치할 경우인데 이러면 기존에 부트 파티션이 존재하므로 그쪽을 갱신하지 새 디스크에 부트 파티션을 추가하지 않는다. GUI환경에서는 부트 파티션을 수동으로 조절할 방법이 없으며 diskpart로 생성해야한다.
  
 +제일 깔끔한 방법은 윈도우를 설치할 때 설치할 
  
os_setup.txt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2021/04/13 06:54 (바깥 편집)